담미심규(痰迷心竅)를 공부해보자 : 정신이 맑지 않음, 치매, 혼잣말, 졸도, 혼궐


안녕하세요. 한씨입니다.

 

담미심규증에 대해서 공부해보았습니다. 담미심규증은 심병에 속해있지만 실제로는 정신질환을 제외하고는 간, 비의 문제가 더 많이 등장하는 특이한 증인 것 같습니다. 특히 정신적 억울로 인해 간기가 뻗어나가지 못함을 원인으로 가장 많이 언급 하기도 했습니다. 담미심규증은 원인이 많고 증상이 발생되는 기전도 원인에 따라 다르게 설명될 수 있으니 각 원인과 기전을 잘 매칭해 놓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러면 담미심규 공부노트 시작해보겠습니다

 


담미심규증(痰迷心竅證)

 

痰濁이 心竅를 막아서 神志 이상이 생긴 증

 

痰濁이 心竅를 막는 것이 기본적인 병기이며, 변증요점은 神志不淸, 嘔吐痰涎의 주증상과 함께 舌苔白膩 또는 白滑, 脈弦緩 또는 弦滑 등의 痰濕內盛의 象이 나타남. 또한, 반복발작이 있는 경우가 많음.

 


여러 관점에서 담미심규(痰迷心竅)의 증상을 분류해보자

 

 

1.심병(心病)의 관점

心悸 : 심장이 두근거림을 느낌

怔忡 : 심장이 두근거리면서 편안치 않음

驚悸 : 심장이 두근거리면서 잘 놀람

 

심계, 정충, 경계 모두 심주혈맥(心主血脈)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으면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담탁이 발생하여 심주혈맥 기능을 저해한다는 표현은 들어본 적이 거의 없는 것 같다. 왜냐하면 심주혈맥의 기능은 혈맥을 통해 나타나는데 혈맥에서 흐름을 막는 무언가는 어혈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심주혈맥 기능을 담탁이 방해한다고 보기보다 내 생각에는 심주혈맥 기능이 제대로 안되어 순환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담탁이 발생했다고 보는 게 맞는 것 같다.

(체가 유발되는 상태에서 담탁이 발생했을 수도 있고 火熱로 인해서 진액이 손상되다 담탁이 발생했을 수도 있다. 다만 화열로 인해 진액이 손상된 경우는 대부분 담미심규가 아니라 담화요심증으로 빠질 것이다.)

 

 

神志不淸 : 정신이 맑지 않음

 

痴呆 : 치매

自語 : 혼잣말을 함

 

담탁이 심규(心竅)를 막으면서 정신적인 장애가 발생한다. 의식장애의 일종인 신지불청(神志不淸, 정신이 맑지 않음), 음적인 정신장애인 치매, 자어가 있다. 담탁도 음적인 물질로 분류하기 때문에 양적인 정신장애(미쳐 날뛰는 류)에 비해 음적인 정신장애가 나타난다.

 

 

사실 담미심규증에서는 심병의 특징이 크게 드러나지 않는다. 정확히는 심규(心竅, 심장의 구멍)을 막는다는 개념에서의 정신질환은 나타나는데, 실제 Heart의 문제는 많지 않다. 실제로 주증, 차증을 봐도 흉민(胸悶, 가슴 답답함) 정도이다. 한의학에서는 정신질환을 심신(心神)이 심규(心竅)를 통해 외부와 상호작용하는 경로가 막혀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담미심규증이 심병에 속해있는 것으로 보인다.

 


2. 담(痰)의 관점

 

담(痰)은 쉽게 말해서 수습이 뭉쳐서 생긴 것이다. 주로 소화기와 정신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痞 : 결림

滿 : 가득참

悶 : 답답함

 

주로 흉부, 복부에서 나타나는 증상들이다. 담탁이 발생할 정도로 체가 있는 상태면 몸에 수습이 순환이 안되어 결리고 가득찬 듯 하고 답답한 증상이 발생한다. 혹은 소화가 제대로 안되어 더부룩한 증상을 말하기도 한다.

 

 

痰 : 담

 

여기서의 담은 작은 의미의 담으로 가래를 말한다고 보면 된다. 호흡기에 발생하는 점액을 담으로 규정하였는데, 이는 감기에 걸렸을 때 나타나는 가래를 말하기도 하지만, 중풍 등 정신질환을 동반하며 의식장애가 오는 경우 거품을 물고 쓰러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의 거품도 담으로 표현한다.

 

 

食慾不振 : 식욕부진

惡心 : 오심, 속이 불편함

嘔吐 : 구토

 

습(濕)은 소화기에 취약한 사기(邪氣)이다. 담탁도 습의 종류로 보는데, 따라서 소화기에 위와 같은 증상을 발생시킨다.

 

 

目眩 : 눈 앞이 아찔함

頭暈 : 머리가 아찔함

 

순간 정신이 셧 다운되는 듯한 증상을 말한다.

 

심규로 인한 증상인가 싶었는데, 증후분석에는 심규를 막아 생긴다는 증상에 목현, 두훈은 아예 등장하질 않는다. 그런데 담미신규의 경로 중에 하나로 '간울(肝鬱) -> 기체(氣滯) or 간풍내동 -> 담을 끼고 위로 뻗쳐오름 -> 심규를 담이 막음' 요런 루트가 존재한다. 이전에 심혈허를 공부하면서 목현, 두훈이 간신의 음허로 인해 허양이 뜨면서 풍을 일으켜 발생한다는 기전이 있었다. 이 둘을 연관지어서 설명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痴呆 : 치매

昏 : 혼절, 정신을 잃음

 

치매, 혼절 등의 정신을 잃는 증상은 담탁이 심규를 막으면서 발생하는 증상이다. 심병의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신지불청(神志不淸), 치매, 자어(自語)를 다루었었는데 모두 같은 기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의식이 또렷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나는 증상은 신지불청, 치매, 자어 등이 있고 이는 담탁으로 인한 정신증상 중 비교적 가볍다. 정신을 잃고 쓰러지거나 인사불성이 되는 것이 위중한 증상이라고 볼 수 있겠다.

 


3. 담미심규(痰迷心竅)의 특징적인 증상

 

卒然僵仆 : 갑자기 넘어지고 엎드림

抽搐 : 근육 경련, 팔다리 근육이 오그라들기도 하고 늘어나기도 하는 증상

 

졸연강부(卒然僵仆)는 근육 경련으로 인해 넘어지고 엎드리는 게 아니라 그냥 쓰러지는 것을 말한다고 한다. 담의 증상군에 적혀있지 않고 따로 있길래 가져왔는데, 담이 심규를 막아 나타나는 증상 중 위중한 증상이라고 보면 될 듯 하다.

 

추휵은 근육 경련인데 정확히는 계속 수축하는 게 아니라 수축했다가 풀리고를 반복하는 증상이다. 반면 구급(拘急)은 근육의 수축이 일어나 피지를 못하는 증상이라고 한다. 구분해두자! 추휵도 보통 풍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표현되어서 '간울 -> 기체응담, 간풍내동' 이 경로 중에 나타나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교과서 내용을 살펴보자 : 변증지표, 증후분석

 

【변증지표】

 

주증 : 精神抑鬱, 神志痴呆또는 神志昏蒙(似明似昧) 또는 卒然昏仆, 不省人事, 嘔吐痰涎, 四肢抽搐

차증 : 面色晦滯, 不思飮食, 獨白自語, 表情淡淡, 行動擧止異常, 胸悶痰多, 喉中痰鳴.

설맥 : 苔白膩, 脈濡或滑.

 

보면 주로 정신질환이 나타난다. 정신이 또렷하지 않은 증상에서 아예 쓰러져버리는 증상까지가 주증의 대부분이다. 그 외에는 구토담연, 사지추휵, 정신억울이 있다.

 

구토담연 같은 경우는 정신을 잃고 쓰러질 때 거품을 물으면서 쓰러지는 경우를 말하는 것이다. 이때의 담은 작은 의미의 담이다.

 

정신억울, 사지추휵은 간병의 측면에서 볼 여지가 있다. 담미심규의 원인으로 크게 4가지를 들고 있는데 제일 첫번째로 보는게 정신적 억울이다. 억울은 우리가 아는 '억울하다'가 아니라 감정이 억눌려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간기(肝氣)가 울결되는 상태를 만드는데 이로 인해 체가 발생하여 수습이 뭉쳐 담탁이 발생한다고 본 것이다.

사지추휵은 같은 맥락 상에서 간풍이 발생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정확한 경로는 아직 잘 모르겠다.)

 

차증과 설맥에서는 모두 담으로 인한 증상들을 제시하고 있다. 심병과는 큰 상관이 없는 증상들이다.

 

정신억울이 가장 첫 주증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간병의 관점과 연관이 많을 것으로 보이네요..!

 

 

【증후분석】

 

1. 원인이 다양, 情志가 순조롭지 못하여 氣結痰凝 또는 濕邪를感하여 濕濁이 痰을 만든 경우, 跌打驚恐으로 氣機逆亂하고 津液이 凝結되어 생긴 痰이 心竅를 막은 경우들이 있음.

 

원인 파트에서 원인은 다시 보도록 하자! (증후분석에 나온 내용도 넣어놨음)

 

 

2. 형성된 痰이 心神의 흐름을 막아 神志가 문란해지면 神志昏蒙, 似明似昧, 獨白自語, 表情淡淡, 행동의 이상이 있고 심하면卒然昏仆, 不省人事에 이름.

 

형성된 담이 심신의 흐름을 막아 신지가 문란해지면 정신이 어둡고 막히고, (정신이) 맑은 듯하다 어둡고, 독백으로 혼잣말을 하고, 표정이 담담하며 (미치고 날뛰는 정신질환에 비교한 것으로 보임), 행동의 이상이 있고 심하면 갑자기 졸도하고 인사불성에 이름.

 

원인은 담이 심신이 나다니는 통로인 심규를 막아 나타나는 것으로 보았다.

 

가벼우면 정신이 맑지 못한 증상에서 의식을 잃어버리는 위중한 증상까지 나타난다.

 

 

3. 이밖에도 肝鬱로 剋土하면 脾의 健運 작용이 안되므로 不思飮食하고, 痰濁이 氣機 순환을 막으면 胸悶痰多, 嘔吐涎沫하게 되며, 痰이 氣道를 막으면 喉中痰鳴하고, 濁陰이 上泛하면 面色이 晦滯하게 된다. 舌脈은 舌苔白膩, 脈濡滑한데 이는 痰濕內盛의 象이다.

 

이밖에도 간울(肝鬱)로 土를 이기면 비의 건운작용이 안되므로 음식 생각이 나지 않고, 담탁이 기기 순환을 막으면 흉부가 담담하고 담이 많아지고, 맑은 가래를 구토하게 되며, 담이 기도를 막으면 목구멍에서 가래 소리가 들리고, 탁한 음이 위로 뻗치면 면색이 어둡고 체한 듯하다. 설맥은 설태가 희고 기름지고, 맥이 매끄러운데 이는 담습이 안에서 성한 상이다.

 

간울(肝鬱)이 발생하면 간의 기가 뻗어나가지 못하다가 그 옆에 있던 비위를 범하게 된다. 이로 인해 비의 기능 상실이 나타날 수 있다. 이로 인해 식욕부진이 발생하고 오심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 간기가 비위를 범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습사가 비위를 범하여 나타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담이 발생한 원인이 정신억울이라면 간기로 인해, 습사로 인한 것이라면 습사가 비위를 괴롭히며 나타나는 증상으로 볼 수 있겠다. (원인으로 제시된 4가지 중 정신억울도 있고 습사도 있음. 아래 [주요 원인]에서 다룸)

 

결국 비위도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도달하는데, 비위의 운화작용이 되지 않아 수습운행에 문제가 발생한다. 비위는 생담지기(生痰之器)라 하여 담을 발생시키는 그릇, 폐는 저담지기(貯痰之器)라 하여 담을 저장하는 그릇이라고 한다. 비위의 운화작용 실상으로 습의 순환에 문제가 생겨 담탁이 발생하고 이것은 폐에서 가래 등의 점액질 과다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발생하는 담은 정신을 잃으면서 거품을 무는 식으로 나타나는 담과는 구분해서 생각할 필요가 있다.

 

탁한 음이 위로 올라가면 이것이 얼굴색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서술되어 있다. 탁한 음이므로 어둡고 혈색이 잘 안도는 체한 듯한 느낌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교과서 내용을 살펴보자 : 주요 원인, 예후

 

【주요 원인】

 

  • 원인이 다양, 情志가 순조롭지 못하여 氣結痰凝 또는 濕邪를感하여 濕濁이 痰을 만든 경우, 跌打驚恐으로 氣機逆亂하고 津液이 凝結되어 생긴 痰이 心竅를 막은 경우들이 있음.

 

  • 대개 肝氣不舒로 氣滯痰凝, 肝風內動으로 挾痰上蒙, 外感熱病으로 火熱이 津液을 煎熬하여 痰을 만들면 蒙蔽心竅하여 의식장애를 일으킴.

 

크게 4가지 원인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1. 정신적 억울 등으로 인해 간기가 제대로 뻗어나가지 못해 발생함

2. 습사에 감함

3. 타박상을 당하며 놀라며 기기가 역란되고 진액이 응결되어 생긴 담 (교통사고 같은 건가 봄..)

4. 火熱로 인해 진액이 손상되어 담이 발생(담미심규증보다는 담화요심증으로 넘어갈 확률이 높음)

 

 

【예후】

 

1. 만약 痰이 울결하여 熱로 變하면 痰火擾心의 實熱證으로 轉化된다.

 

담이 맺혀서 계속 압력을 받고 뭉쳐있다보면 열로 변한다. 이에 따라 담화요심증으로 바뀔 수 있다.

 


교과서 내용을 살펴보자 : 치법, 처방, 상용약물, 처방, 질환범위

 

【치법】

 

滌痰開竅, 환자에 따라 養心安神을 고려한다.

 

 

【처방】

 

導痰湯(婦人良方), 菖蒲鬱金湯(溫病全書), 定癎丸(醫學心悟), 滌痰湯(奇效良方), 淸熱導痰湯(壽世保元)

 

 

【상용약물】

 

膽南星, 生鐵落, 菖蒲, 炙遠志, 鬱金, 小麥, 炙甘草, 大棗, 天竺黃, 炙茯苓, 白茯神, 龍齒, 陳皮, 薑半夏

 

 

【질환범위】

 

뇌혈관질환, 간성혼수, 당뇨병성혼수, 요독성혼수, 癲病, 癎病, 濕溫 등.

 

 

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2017). 한의병리학. 한의문화사 : 용인

 

 


'담미심규(痰迷心竅)' 관련 글 모아 보기

 

담미심규(痰迷心竅) ARCHIVE

 

교과서의 내용과 수업 내용, 그리고 제가 찾아본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 글은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작성되었으며 잘못된 정보가 있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