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한의대생은 ‘약서‘라는 노의준 원장님이 작성하신 책을 읽고 있는 중이다. 원래부터 궁금증이 많고 파고들기 좋아하는 성격인 탓인지, 혹은 완벽주의라서 어떤 책이든 가볍게 책장을 넘기지 못하는 습성이 있는 필자는 이 귀납적 특성을 다분히 소유한 약서를 보면서도 여러 궁금증이 들곤 하는 것이다. "왜 이런 작용이 나타나지? 항상 이런건가? 어떤 식으로 나타나는지 밝혀지지 않으면 다른 상황에서 오히려 해를 끼칠 수 있는 거 아닌가?" 한의학이라는 학문이 애초에 귀납적이라는 것을 감안했을 때 이 약서라는 책은 약능가설을 제시하며 귀납적인 결론을 넘어서 하나의 연역적인 결론을 내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이런 완성되지 않은, 학계의 정설로 굳어지지 못한 가설들이 내 궁금증을 더욱 유발했고 챗지피티씨에..
안녕하세요. 한씨입니다. 학기가 시작되고 나서는 정신없이 시간이 지나가는 것 같습니다. 밀려오는 동아리 활동에, 과제에, 시험기간은 또 시험기간 대로 바빠서 블로그는 쳐다보기도 힘든 실정입니다. 그래도 남는 힘 쥐어짜서 찰나의 휴식 기간에 블로그 글을 써봅니다.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자격증을 이번 학기 도전했었는데요. 저는 나름은.. 거창한 이유가 있어서 이 시험에 지원했습니다. 앞으로도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연구활동을 하고 싶다는 생각에 도전을 했습니다. 응시 비용 5만 원 걸어놓고 나니 포기하기도 애매해서 힘든 생활 중에 어떻게든 짬을 내서 자격증을 땄습니다. 저는 이 분야에 발을 들이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한의학 공부는 계속하면서 블로그 올리겠지만, 차츰 데이터 분석 분야 글도 많아질 것 같네요...
① 공통점: 舌紅, 脈弦, 眩暈, 腰膝酸軟, 口乾 등 肝腎陰虛로 肝陽을 제어하지 못하여 생기는 증상 간양화풍증 자체가 간양상항 상황이 오래되어 풍을 일으키는 것이라고 하였다. 즉 간양상항 + 내풍증이 간양화풍이라고 보면 되므로 간양상항의 증상들은 당연하게도 대부분 겹친다. ② 차이점간양화풍증: 抽搐, 拘攣, 肢體麻木, 口眼歪斜, 語言不利, 半身不遂, 卒然僵仆, 頭痛(경련성), 眩暈欲倒, 面紅, 神志不淸. 간양상항증: 眩暈, 耳鳴, 頭痛脹感, 面赤烘熱, 失眠多夢, 煩躁易怒, 頭重脚輕. 간양상항 + 내풍증 = 간양화풍이라면 차이점은 내풍증이 될 것이다. 간양화풍의 내풍증은 간양상항, 열극생풍, 혈허생풍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두통, 구급, 추휵, 마목, 현맥 말고도구안와서, 언어불리, 반신불수, 넘어지려..
① 공통점: 眩暈, 面白無華, 脣舌色淡, 脈細 등의 증상이 있으며 血虛를 기본으로 상호전화하거나 겸하여 나타날 수 있다. 혈허의 증상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또 혈허를 바탕으로 상호전화하거나 겸하여 나타날 수 있다. ② 차이점간혈허증: 肢體麻木, 筋脈攣急, 爪甲不榮, 視物模糊또는夜間視物不淸, 女子月經後期、量少色淡質稀、甚則閉經 등이 있다. 심혈허증: 心悸怔忡, 失眠多夢, 健忘 등이 있다. 간혈허는 目, 筋, 衝脈에서의 혈허 증상이 주요한 증상인 반면, 심혈허는 심장의 두근거림, 정신적 문제(불안함, 실면, 다몽, 건망)이 주요한 증상이 된다.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2017). 한의병리학. 한의문화사 : 용인관련 글 모아 보기간혈허(肝血虛) ARCHIVE심혈허(心血虛) ARCHIVE
① 공통점: 頭暈目眩, 兩目乾澁, 脇肋疼痛, 手足蠕動 등의 筋脈兩目經脈이 濡潤을 잃은 증상. 간혈허, 간음허 모두 근맥, 눈, 경맥이 유양작용을 잃은 증상이 나타난다.하지만 그 증상이 나타나는 초점이 다르기도 하다.양목건삽같은 경우 간혈허에서는 이론상 나타나지 않는다고 보기도 한다. cf. 간음허 같은 경우 간혈허가 진행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② 차이점간혈허증: 대다수 失血過多나 血의 化源 부족, 久病, 重病으로 생긴다. 顔面이 蒼白 또는 痿黃하고 脣淡白하며 肝血不足으로 陰虛內熱의 象이 없다. 간음허증: 대부분 情志가 不遂하여 鬱滯되어 化火하거나 또는 溫熱病을 감수한 병력이 있다. 顔面潮紅, 脣赤口乾, 五心煩熱, 虛煩不寐, 潮熱盜汗, 尿黃便乾 등 陰虛內熱의 증상과 舌紅少苔, 脈細弦數이 나타난다. 먼저..
① 공통점: 병기적으로 陰虛를 공유, 五心煩熱, 虛煩不寐, 潮熱盜汗, 兩顴紅赤, 口乾咽燥, 頭暈目眩 둘 다 음허증을 끼고 있다. 음허증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나타난다. ② 차이점간음허증: 兩目乾澁, 目視不明 또는 夜盲, 肢體麻木, 筋惕肉瞤, 爪甲不榮, 脇肋隱痛 등의 증상이 나타남. 病位는 肝과 筋目, 脈은 弦細數. 신음허증: 眩暈耳鳴, 健忘, 兩足痿弱, 足跟痛, 齒搖髮脫, 腰膝酸軟. 病位는 腎과 骨, 骨髓, 脈은 沈細 또는 沈細數. 간은 간의 계통에서, 신은 신의 계통에서 음허의 양상이 드러난다. 간은 눈, 근맥, 손톱, 간경 등에서 나타난다. 신은 귀, 골수(정신), 뒤꿈치, 치아, 모발, 허리, 무릎 등에서 나타난다. 또 맥도 간음허는 현세삭하고 신음허는 침세 또는 침세삭한 특징이 있다.한방병리..
① 공통점: 둘 다 飮證이나 水腫 등의 病歷을 가진다. 둘 다 수음으로 인한 증상이기에 전신적 수종이 발생한다. 그리고 둘 다 흉부에서 수음으로 인한 증상이 발생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② 차이점수기능심증 : 心悸가 특징적이다 수한범폐증 : 咳唾喘促이 특징적이다.둘 다 비슷한 증상을 가지기는 하지만 그 중에서도 수기능심증은 심병의 특성을 수한범폐증은 폐병의 특징을 가진다. 수기능심증은 가슴 두근거림을, 수한범폐증은 해수천촉(기침, 발작적 기침)을 특징적 증상으로 삼는다.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2017). 한의병리학. 한의문화사 : 용인관련 글 모아 보기수기능심(水氣凌心) ARCHIVE수한범폐(水寒犯肺) 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