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공통점: 胸悶不舒, 胸骨後悶痛 등의 氣機鬱滯의 증상가슴이 답답하고 복장뼈 뒤가 답답한 통증이 있는 기기울체의 증상이 나타난다.간기울결증의 경우 간경의 경기가 울결되어 답답하고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고심혈어조증의 경우 심맥이 瘀阻不通하면 血瘀氣滯를 유발하여 심흉민동통이 발생하는 것이다.결국에는 둘 다 기기울체로 인한 답답함, 통증이 발생한다. ② 차이점간기울결증: 胸悶의 범위가 비교적 광범위하고 항상 兩脇悶痛 또는 少腹脹痛에 連하여있다. 胸悶은 太息한 후에 호전된다. 女子에게는 항상 煩躁易怒, 月經失調, 乳房脹痛이 있다. 심혈어조증: 胸悶의 범위가 항상 心前區 또는 胸骨後로 한정되어 있다. 心痛徹背, 心悸氣短, 脣舌靑紫, 脈結代 등의 증상이 있다. 가장 핵심이 되는 포인트는 흉민의 범위이다. 가슴 ..
① 공통점: 少腹疼痛 한증의 특징적인 증상인 소복동통이 공통점으로 제시된다. 다른 한증의 특징인 몸이 차갑다거나 따뜻하게 해주면 완화되는 특징도 공유할 것이다. ② 차이점 한체간맥증: 대부분 實寒證에 속하므로 疼痛이 극렬하고 누르면 더욱 심해진다. 睾丸이 牽引疼痛한 것이 특징이다.비신양허증: 虛痛으로서 痛勢가 綿綿하고 누르면 통증이 감소된다. 睾丸疼痛은 없으며 腰膝冷痛, 大便溏泄이 동반된다. 두 가지 포인트로 차이점을 볼 수 있다. 첫번째, 실증이냐 허증이냐요게 눌렀을 때 심해지는지 완화되는지 차이가 나타난다. 아마 맥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두번째, 간병이냐, 비병+신병이냐간병에 속한 한체간맥증은 간경의 유주인 생식기 부위에서 통증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반면 비병과 신병을 겸한 비신양허증은 ..
① 공통점: 眩暈, 耳鳴, 目乾澁, 視物模糊, 爪甲不榮, 夜寐多夢, 婦女經量少, 經閉 등 그 증상이 유사 뭐지 간양상항에서는 허증의 양태가 일부 있기는 했어도 영양이 안되서 생기는 目, 筋脈, 衝脈의 문제는 없었던 것 같은데..증상이 유사하다는 것은 같은 건 아니고 비슷한 점이 있다는 소리인가? 흠..이명도 소양경의 실증과 영양되지 않아 생기는 허증은 다른 게 아닌가? 모르겠다.. 간양상항의 주증과 차증주증 : 眩暈, 耳鳴, 頭痛脹感, 面赤烘熱.차증 : 失眠多夢, 煩躁易怒, 頭重脚輕, 腰膝酸軟, 咽乾口燥.설맥 : 舌質紅, 脉弦細數或弦勁有力. 간혈허의 주증과 차증주증 : 眩暈, 視物昏花, 夜盲, 肢體麻木, 筋脈拘攣, 面色淡白少華.차증 : 脇肋綿綿作痛, 筋惕肉瞤, 爪甲枯脆, 口脣指甲淡白, 耳鳴, 月經量少而..
① 공통점: 脇肋疼痛, 乳房滿悶 간기의 소설작용의 실상으로 기기울체가 생긴다.간경의 유주 영역 근처에서 脇肋疼痛, 乳房滿悶이 발생한다. ② 차이점간기울결증: 熱象이 없으며, 肝經流注 부위의 脹痛외에 木克土의 泄瀉, 食慾不振 등이 나타난다.간화상염증: 熱象이 뚜렷하다. 脇肋灼痛, 頭部의 극렬한 통증, 眩暈, 耳鳴, 耳聾, 面紅目赤이 나타나고 吐血, 衄血 등의 血證이 나타난다. 가장 뚜렷한 차이는 열상(熱象)의 유무이다. 간기울결증은 열상이 없고, 간화상염증은 열상이 있다. 간기울결에서는 간경유주 부위의 창통외에 목극토의 설사, 식욕부진 등이 나타난다고 하였는데, 목극토라고 표현한대로 간기가 비위를 범해서 나타나는 증상일 것이다. 간화상염에서 간화의 병기는 주로 기(氣)의 승발태과(升發太過)와 혈(血)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