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공통점: 周身浮腫, 心悸氣短 둘 다 수분대사의 문제로 인해 수기가 넘치면서 발생하는 증이다. 따라서 이로 인한 증상인 전신 부종, 가슴의 두근거림, 숨을 헐떡이는 증상이 발생한다. 심계는 심장의 심주혈맥 기능을 방해하면서, 기단은 흉양의 기능이 제대로 안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② 차이점水氣凌心證: 心悸, 喘息, 不能平臥가 주가 된다. 腎虛水泛證: 腰膝酸痛이 있다. 수기능심증같은 경우 심을 중심으로 해서 심흉부 위주로 증상이 나타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가슴 두근거림, 발작성 기침, 흉부에 물이 차서 편히 눕지 못하는 증상이 있다.반면 신허수범증은 신병의 대표적인 증상인 요슬산연(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픔)이 나타난다.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2017). 한의병리학. 한의문화사 :..
① 공통점: 心悸, 肢冷. 둘 다 심병에 속하고, 심양허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겹치는 증상이 있고 대표적인 것이 심계와 지냉입니다. ② 차이점심혈어조증: 心胸憋悶疼痛의 증상이 위주 수기능심증: 心悸喘滿, 眩暈, 肢體浮腫 등의 증상이 위주. 어혈성 질환과 수습으로 인한 질환이라는 차이점이 있습니다.어혈성 질환은 일정 부위에 찌르는 듯한 통증, 갑자기 통증이 나타나고 사라짐, 밤에 더 심해짐, 청자색 징후 등의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수기능심증은 수습으로 인한 질환으로 수습이 폐에도 차며 숨이 차고 누우면 기침이 나서 누워있지 못하며 부종이 나타나는 증상이 있습니다(현훈(眩暈)은 수기능심의 주증, 차증 뿐 아니라 증후 분석에도 나타나있질 않네요.. 이론적으로도 나타날 이유가..
① 공통점: 둘 다 實熱證이며 尿熱, 尿痛이 나타난다. 둘 다 실열증이기 때문에 실열의 징후가 나타난다. 다만 방광습열증의 경우 습의 영향으로 인해 진액 휴손의 징후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尿熱 : 소변에 열감이 있음尿痛 : 소변에 통증이 있음둘 다 하복부의 열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으로 볼 수 있다. 심화항성증은 하복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소장으로 열이 옮겨가는 과정을 통해 설명하였다. 소장에서의 열은 소장 뿐 아니라 하초를 통해 하복부 전체로 열을 옮겨나갈 수 있다. ② 차이점심화항성증: 心煩, 口舌生瘡, 舌尖紅 등이 위주이다. 방광습열증: 濕熱下注하여 尿頻, 尿急 등이 뚜렷하다. 방광습열증은 습열로 인한 하복부 증상이 위주일 것이다. 또 소변을 자주 급하게 보는 증상은 심화항성증의 뇨황(..
① 공통점: 熱盛하여 心神을 擾亂한 병리변화로서 모두 神昏譫語, 狂躁妄動 등의 증상 열이 성해지면서 심신을 요란시킨 것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신혼섬어, 광조망동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② 차이점심화항성증: 心胸煩熱, 失眠, 口舌生瘡, 肌膚瘡瘍, 衄血吐血 등이 주요 증상이며, 日晡潮熱, 手足汗出 및 痞滿燥實의 특징은 없다. 熱勢가 비교적 가볍고 舌尖紅이 주된것이며 苔는 비록 황색이나 焦黑起刺까지는 이르지 않고 脈은 數하되 沈實한 象은없다. 양명리실증: 神昏譫語 외에 日晡潮熱, 手足汗出, 腹滿硬痛拒按, 大便秘結 또는 熱結旁流 등의 증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주요 특징이며, 熱勢가 重하고 舌紅苔黃하며 심하면 焦黑起刺하고, 脈은 대부분 沈實有力하다. 심화항성증은 실열증이기는 하지만 실열이 심신을 요란시켜 나..
① 공통점: 心煩失眠, 狂躁譫語, 面赤口渴, 尿黃便結, 舌紅苔黃, 脈數 등의 증상 담화요심증은 심화항성증을 기본적으로 깔고 있다. 심화가 진액을 손상시키다가 痰火로 발전하며 발생하는 것이 담화요심증이다. 둘 다 심화로 인한 증상들이 나타난다. ② 차이점심화항성증: 口舌生瘡, 肌膚瘡瘍, 吐血衄血 등을 겸함. 痰盛 증상은 없음 담화요심증: 胸悶痰多, 痰黃稠, 喉中痰鳴, 苔黃膩, 脈數而滑 등의 痰盛한 증상을 겸함 둘 다 심화로 인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담화요심증은 痰火가 발생하며 이로 인한 증상이 나타난다. 이 담화로 인한 증상이 이 둘을 나누는 포인트가 된다. 담이 성한 증상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담이 많고 담이 누렇고 뻑뻑함, 또 목구멍에 담이 울리는 소리가 들리는 등의 증상을 제시하기는 했는데,..
① 공통점: 陰虛와 陽亢의 두 측면이 있다. 심음허는 음허로 인해 양을 제약하지 못해 양항의 상태가 나타난다. 심화항성은 먼저 심화가 발생하고 열의 양상으로 인해 음이 손상되어 음허가 발생할 수있다. ② 차이점심음허증: 虛 위주이므로 五心煩熱, 盜汗, 顴紅 등의 虛熱象 심화항성증: 陽亢 위주이므로 口渴, 尿赤, 便秘 등의 實熱象 대표적인 구분법은 허열인지, 실열인지 구분하는 것이다.오심번열, 도한, 조열, 관홍 등의 허열상이 나타나면 심음허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반면 실열의 증후인 전신적인 발열이나 음액 손상의 징후가 나타나면 심화항성증을 의심할 수 있다. 다만 음액 손상의 징후는 심음허에서도 나타나고 심화항성증에서는 전신 발열을 주증, 차증으로 꼽지 않는다. 오히려 구분하기 제일 명료한 주증은..
① 공통점: 口乾, 尿少, 便乾, 潮熱盜汗 등의 陰虛 증상 둘 다 음허증이므로 음허의 증상들이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진액부족의 양상과 허열상이 있다. ② 차이점폐음허증: 기침을 하면서 痰少하거나 痰中帶血한 것이 주증상이다 심음허증: 心悸, 失眠이 주증상이다 당연하게도 폐병인지 심병인지에 따라 증상이 차이가 나타난다.폐병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기침, 가래 등을 예시로 들 수 있고, 심병에서는 심계를 예시로 들 수 있다(실면은 음허증이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심계를 중점으로 보자).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2017). 한의병리학. 한의문화사 : 용인관련 글 모아 보기심음허(心陰虛) ARCHIVE폐음허(肺陰虛) 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