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공통점: 心悸怔忡, 失眠多夢. 심계 정충은 심주혈맥 기능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것이다.실면 다몽은 심혈허와 심음허의 기전이 다른데, 심혈허에서는 신이 의지할 혈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제시하는 반면, 심음허에서는 음허로 인해 허화가 발생하여 의지할 곳이 없어 나타나는 것으로 제시한다. ② 차이점심혈증: 眩暈健忘, 面白無華, 舌淡脈細 등이 특징이고 虛熱象이 없다. 심음허증: 潮熱盜汗, 五心煩熱, 舌紅少津, 脈細數 등의 虛熱象을 동반 중요한 포인트는 역시 혈허증인지, 음허증인지이다.심혈허 같은 경우 혈허의 증상이 주가 되는 반면, 심음허는 음허의 증상이 주가 된다. 가장 주요한 포인트로 볼 수 있는 것은 허열상이다. 조열, 관홍, 오심번열 등의 음허열의 상을 파악하는 것이 이 둘을 감별할 때 중..
① 공통점: 心悸, 形寒肢冷 일반적으로 수기능심은 심양허를 끼고 나타난다. 그래서 심양허의 증상이 전부 주증, 차증에 제시된다. ② 차이점심양허증: 심계기단, 動則氣促이 위주, 심흉번민동통수기능심증: 천식, 不能平臥, 주신부종, 소변단소 등의 水邪滯留의 특징 수기능심이 심양허를 끼고 나타나기 때문에 사실상 심양허증의 증상을 끼지만, 주요한 증상이 다르다. 수기능심 같은 경우 물과 관련된 증상이 특징적이다. 그 예시로 흉부에 물이 차면서 기침이 나 누워있을 수가 없거나, 전신부종이 나타나는 증상이 있다. 또 소변이 적은 것도 물의 순환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심양허에서는 소변이 맑고 길게 나오는 것으로 제시되었는데, 수기능심증은 양허이기는 하나 수습이 제대로 돌..
① 공통점: 심계, 정충, 흉민, 심통 둘 다 심병이므로 심계, 결대맥 등의 증상은 당연히 나타난다. 흉민, 심통 또한 심맥의 체로 인해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둘 다 나타난다. 다만 직접적인 원인이 심양허는 심주혈맥의 기능 저하와 한상으로 인해 체가 발생하며 나타나는 것이라면, 심혈어조는 심맥에 어혈이 발생하며 나타나는 것이다. 다만 보통 심혈어조는 심양허를 끼고 나타나는 데 심양허가 오래되어 체가 발생하기 쉬운 상황이 지속되다보면 어혈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직접적인 원인을 다르게 서술하지만 같은 흐름 속에 있다는 것을 알아두자. ② 차이점심양허증: 陽虛寒盛, 形寒肢冷, 尿淸便溏, 면색창백, 설질담, 태박백이윤 심혈어조증: 瘀血阻塞, 설에 瘀斑, 바늘로 찌르는 듯한 심통 심양허는 양허의 증..
① 공통점: 움직이면 氣短, 神倦, 自汗이 나타남 심기허증은 심의 기가 허한 것, 신불납기증은 신기허로 인해 신의 납기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당연히 둘 다 기허증을 동반하기 때문에 자한, 신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기단도 기허증으로 파악할 수 있는데, 그 기전은 심기허증은 심 근처 폐에 있는 종기가 부족해져서 나타나는 것으로 표현된 반면, 신불납기증은 신기허로 인해 신의 납기 기능이 되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② 차이점심기허증: 심계, 불면 신불납기증: 咳喘, 呼多吸少, 氣不得續 다른 장부의 병증끼리 감별하는 경우 보통 중요한 포인트를 각 장부병의 특징적인 증상으로 삼는다. 하지만 신불납기증에서는 이처럼 제시되지 않는다. 신병에서는 요슬산연을 특징적 증상으로 ..
① 공통점: 心悸, 怔忡, 胸悶 심계, 정충은 심병 병증에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증상이다.흉민같은 경우 사실 심혈허에서는 나타난다고 보지 않는다. 보통 흉민, 흉통같은 경우 흉부에서 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나타나는데, 심기허, 심양허같이 순환을 직접 시키는 기의 부족이거나 혹은 어혈같은 막는 무언가가 있어서 발생한다고 본다. 심혈허는 둘 다 해당하지 않는다. ② 차이점심기허증 : 신피무력, 활동시 증상이 심해짐 비신양허증: 현훈, 건망, 실면, 다몽 등의 혈허 증상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아무래도 기허증이냐 혈허증이냐의 차이이다. 교과서에도 이를 감별점으로 제시하고 있다.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2017). 한의병리학. 한의문화사 : 용인관련 글 모아 보기심기허(心氣虛) ARCHIVE심혈허(..
① 공통점: 둘 다 心의 陽氣가 虛衰한 병리현상으로 단지 경중〮완급의 차이가 있다. 心悸, 胸悶氣短 또는 心痛 등이 있다. 심의 양기가 폭탈했다는 표현에서 심양폭탈증은 굉장히 위중한 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심기허 경중을 따지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② 차이점심기허증: 발병이 완만하고 병세가 가벼워 心陽이 外脫하여 宗氣가 大泄하는 위중한 증상은 없고, 心悸, 胸悶, 氣短 등 心의 기능이 부족한 증상이 특징이다.심양폭탈증: 발병이 급하고 병세가 심한데, 이것은 病情이 급히 악화될 때에 나타나는 위중한 증후로서 갑자기 面色蒼白 또는 靑紫, 口脣靑紫, 四肢厥冷, 冷汗淋漓, 呼吸微弱, 脈數疾無力이 나타나고 나아가 神志不淸 또는 昏迷, 脈微欲絶 등이 나타난다. 차이점은 사실 병의 위중함이 제일 큰 ..
① 공통점: 심계정충, 흉민기단이 활동시 심해짐 심양허는 대부분 심기허증이 발전하면서 생긴다. 증상도 심기허에 한상이 추가된 증상으로 나타나기에 사실상 심양허와 심기허는 포함관계이다. ② 차이점심기허증: 한상이 없다. 면색이 담백하며 어둡지 않음. 설은 담백하되 胖大하지 않음 심양허증: 형한지냉, 맥지 등의 한상이 나타남. 쇠약의 정도가 보다 심함. 흉민기단과 흉통이 보다 중함. 면색이 창백 또는 어두움. 설은 담백胖嫩 앞서 말했듯이 심기허에 한상이 추가됨이 주요 포인트이다. 또 다른 증상도 심기허에 비해 심양허가 심한 것을 볼 수 있다. 혀가 묽고 흰 것은 표현상 똑같다. 胖은 살이 많고 튼실하다는 표현이다. 반대하지 않다는 것은 살이 많고 튼실하고 크지는 않다는 의미일 것이다. 반면 胖嫩은 살이..